728x90
반응형

암호화 3

공개키 암호 시스템(1)

공개키 암호 개요 기존 대칭키 암호의 한계 기존 대칭키 암호 체계에서는 1:1 통신 마다 키가 필요하다 즉, n명 통신시에는 $\frac{n(n-1)}{2}$ 개의 키가 필요하다. 통신을 위해 항상 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. 키가 많아지면 오버헤드가 발생한다. Solution : 공개키 (비대칭키) 암호 시스템 공개키 (비대칭키) 암호 시스템 Diffie, Hellman은 1976년 발표된 논문 *"New Directions in Cryptography"* 에서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소개한다. 각 사람마다 한 쌍의 키를 보유한다. (공개키 pubkey, 개인키 secret(private) key)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되고, 개인키는 비밀로 보관한다. 공개키를 안다고 해서 이를 통해 개인키를 유추하는 것..

Security 2023.10.09

대칭키 암호 시스템, DES와 AES

Intro 본 포스팅에서는 대칭키 암호 시스템 중 DES와 AES에 대해 다룬다. DES(Data Encryption Standard) 1973년 미국의 연방 표준국(National Bureau of Standards, NBS, 현재의)에서 DES 공모 IBM은 자사의 루시퍼(Lucifer)를 제출하였다. 미 연방 표준국은 1977년 루시퍼를 수정하여 DES로 선정하였다. FIPS PUB 46 국가안보국(National Security Agency, NSA)는 루시퍼에서 사용된 64비트 키를 56비트로 변경함 Most widely used block cipher in world 64-bit 데이터 블록, 56-bit 암호키를 사용한다. 현재는 DES를 사용하지 않고 3-DES(triple DES)와 AE..

Security 2023.10.02

대칭키 암호 시스템

Intro 본 포스팅에서는 대칭키 암호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다룬다. 대칭키 암호 시스템이란? 네트워크 통신 상에서, 노드들은 정보의 기밀성, 무결성 등을 위해 정보를 암호화하고 주고 받는다. 이 때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같을 경우 대칭키 암호 시스템 에 기반한 암호화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. 혼돈(Confusion)과 확산(Diffusion)의 원리 혼돈(Confusion)과 확산(Diffusion)의 원리는 정보이론 학자인 _샤논_의 제안이다. 혼돈(Confusion) 키와 암호문과의 관계를 감추는 성질이다. 현대 블럭암호는 혼돈을 위해 치환(Substitution)을 사용한다. 확산(Diffusion) 평문과 암호문과의 관계를 감추는 성질이다. 평문의 한 비트가 암호문의 모..

Security 2023.10.02
728x90
반응형